배달 트렌드 리포트

2025년 배달 서비스 흐름에 대해서

zerothemind 2025. 6. 24. 17:20

2025년도 어느듯 반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오랜기간 동안 배달 서비스 개발에 일해 왔지만, 개발에만 신경을 쓰고, 트렌드나 시장 상황에 대해서는

깊은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다, 최근 여러 좋지 않은 일들을 겪으면서, 내가 그동안 해온 일들과 관련 일들에 대해서 여러 생각을 갖게 되었다. 

 

개발 이외에 다른 분야에도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으로 몇몇 자료로 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먼저, 오늘은 2025년 배달 서비스 트렌드에 대해서 간략한 내용으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20205년 국내 배달 시장은 '음식' 이 아닌 '라이프스타일'을 배달하는 트렌드 입니다. 

건강, 경험, 맞춤화, 기술을 결합한 전략이 경쟁력입니다. 

플랫폼이든 브랜드이든, 단순한 음식이 아닌 가치와 감성을 함께 배달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승부처가 될것 같습니다. 

 

1. 배달 시장 규모와 소비자 특성 

   - 2025년 국내 배달 시장 규모 는 약 20조원 및 외식업 창업의 40% 이상이 배달 중심 창업이 될것으로 예상됩니다. 

   - 월 평균 배달앱 이용 횟수는 약 3.5회이며, 응답자의 81.9%는 스마트폰으로 메뉴를 먼저 검색할것 입니다. 

   - 주요 소비층은 30~40대, 1인 및 맞벌이 가구 중심으로 편의성, 경험 소비를 지향 합니다. 

 

2. 트렌드 분석

   1) 건강 및 프리미엄 강조 

       - 소비자는 맛뿐 아니라 건강을 중요시하는 경향으로 신선한 재료, 건강 식단 변화하고 있습니다.  

       - '저속노화', '클린푸드', '프리미엄 도시락,샐러드' 등 건강 콘셉트의 배달 메뉴가 메인스트림으로 부상을 하고 있습니다. 

 

   2) 다양성과 커스터마이징

      - 특정 음식뿐만 아니라, 이국적인 음식, 퓨전 음식등 다양한 메뉴에 대한 관심 증가하고 있습니다. 

      - 본 메뉴이외에 각자의 기호에 맞는 사이드 주문 증가 추세입니다. 

     

   3) 경험 기반 배달 

      - 단순한 주문을 넘어 생일, 기념일, 홈파티 배달 세트 수요 폭증 하고 있습니다.

      - 감성 패키지, 테이블 셋팅 등 특별한 분위를 특별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배달 서비스가 인기가 있습니다. 

 

   4) 개인화 및 데이터 기반 추천

      - '초개인화' 와 '맞춤소비' 키워드 에서 AI 및 빅데이터 기반 메뉴 추천 강화로 바뀌고 있습니다. 

      - 위치, 시간대, 건강 정보 반영한 맞춤 UI/UX 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5) 기타 

      - 배달 전문 매장의 증가로 배달 서비스 경쟁이 심화되는 현상이 있습니다.        

      - 온/오프라인 매장을 연계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배달 데이터 분석을 통한 고객의 니즈 파악, 맞춤형 마케팅을 진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은 간략히 트렌드에 대해서 내용을 정리 해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이 내용들을 자세히 정리하는 자리를 만들어 보겠습니다.